티스토리 뷰

 

서울시가 미취업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, 취업과 자기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25년 서울시 청년수당을 개편했습니다. 이번 개편으로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, 맞춤형 취업 및 진로 프로그램이 강화되었는데요.

2025년 청년수당 신청 대상, 지원 내용, 신청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고, 청년 여러분이 놓치지 않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!

 

목차





    📌 2025년 서울시 청년수당 모집 개요

    • 📅 신청 기간: 2025년 3월 6일(목) 오전 10시 ~ 3월 13일(목) 오후 4시
    • 👥 모집 인원: 20,000명 내외
    • 💻 신청 방법: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(*방문 및 우편 접수 불가*)
    • 📞 문의처: 1566-3344 (청년수당 콜센터) / 120 (다산콜센터)

    ✅ 신청 대상 및 자격 요건

    🔹 신청 대상

    • 연령 요건: 1990년 3월 1일 ~ 2006년 3월 31일 출생자
    • 거주 요건: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(*신청 시점 기준*)
    • 소득 요건: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
    • 취업 상태: 미취업자 (*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단기 근로자는 신청 가능*)

    ❌ 신청 불가 대상

    • 서울 거주자가 아닌 경우
    • 대학 재학생 및 휴학생 (*방송통신대·사이버대·학점은행제 제외*)
    • 주 30시간 초과 & 3개월 초과 근로자
    • 유사 지원사업 참여자 (*청년월세지원, 희망두배 청년통장, 국민취업지원제도 1·2유형 등*)
    • 2017~2024년 서울시 청년수당 기참여자
    • 실업급여 수급자,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    • 군 복무 중인 자 (*사회복무요원 포함*)

    💰 지원 내용 및 2025년 주요 변경 사항

    서울시 청년수당은 매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동안(총 300만 원) 지급됩니다.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, 청년들의 취업 및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됩니다.

    🔹 2025년 변경된 지원 내용

    • 진로 단계별 맞춤 지원: 청년들의 취업 준비 단계를 4단계로 나누어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
    • 6개월 장기 멘토링 프로그램 도입: 기업 현직자 멘토가 취업 노하우 제공 및 직무 조언
    • 청년수당 사용 모니터링 강화: 체크카드(클린카드) 시스템을 도입하여 부적절한 사용 방지

    💳 청년수당 사용 방법

    🔹 사용 가능 항목

    • 주거비: 전·월세비, 주거 관리비, 주거 관련 대출
    • 생활비·공과금: 전기·가스·수도요금, 통신비, 건강보험료
    • 교육비: 학자금 대출, 자격증·시험 응시료

    ❌ 사용 불가 업종

    • 유흥업소, 주점, 카지노, 안마시술소
    • 귀금속, 명품, 특급호텔
    • 백화점, 면세점, 상품권(기프티콘 포함) 구매
    • 예금·적금·보험료 납입, 국민연금 납부
    • 타 계좌로 이체, 해외 결제

    📅 선정 및 지급 일정

    • 예비 선정자 발표: 2025년 4월 3일(목) 오후 6시
    • 사전교육 이수 및 신한은행 계좌 개설
    • 성장기록서 작성 (매월 11일~익월 10일)
    • 청년수당 지급 (매월 29일)

    ⚠ 자격상실 및 신고 안내

    • 주 30시간 초과 & 3개월 초과 근로
    • 서울 외 지역으로 전출
    • 군 입대 (사회복무요원 포함)
    • 실업급여 수급,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편입
    •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중복사업 참여

    🎯 마무리

    2025년 서울시 청년수당은 단순한 금전 지원이 아닌, 청년들의 진로 탐색 및 취업 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
    💡 핵심 요약

    • ✔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 지급
    • ✔ 맞춤형 취업 지원 & 멘토링 제공
    • ✔ 체크카드 사용 원칙, 특정 항목만 현금 사용 가능
    • 📅 신청 기간: 2025년 3월 6일(목) ~ 3월 13일(목)